CSNL

Ⅰ.혈 액(blood fluid)

bonofactory 2024. 2. 15. 17:40

혈관이라는 도관을 통해 이런물질들을 해당기관으로 운반하는 일종의 매체


1. 혈액의 일반 기능                                                                                               



① 가스대사 : 폐포로부터 산소를 각 조직으로 운반

                    CO2를 다시 폐로 운반 ⇒ 체외로 방출

② 영양분 운반 : 장에서 흡수한 영양소들을 신체 각 부위의 조직으로 운반

③ 노폐물 운반 : 대사산물인 urea, uric acid, lactic acid, creatinine 등은 신장 같은 배설 기관으로 이동

④ 신체 방어 : 세균, 독소에 대해 식균 작용 or 방어작용하여 신체 보호

⑤ 전해질 및 수분 조절 : 조직액과의 수분 교환을 통해 혈액속의 단백질 염류 들을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

                                   혈액의 pH 7.4 부근으로 유지

⑥ 호르몬 운반 :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각 표적기관에 운반

⑦ 혈액 응고 : 혈액은 체외로 유출시 바로 응고하는 성질

⑧ 체온 조절 : 체내 열 생산 가장 많음 → 골격근, 간

                     이들이 거의 같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 (생성된 열이 혈액에 의해 신체 각 부위로 분산)

2. 혈액의 성분                                                                                                                          

 

 54%의 액체성분인 혈장plasma ⇒ 대부분 수분이며 그속에 무기물, 유기물 용해

 45%의 고형성분인 혈구세포 ⇒ RBC, WBC, platelet

 

◎ 혈병 blood clot

: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면 혈장내 섬유소원(fibrinogen)이 불용성 섬유소 fibrin을 변해 혈소판 및 다른 혈구들과 더불어

   응고를 일으킴

   ex) WBC+RBC+혈소판+fibrinogen(혈장단백질)

 

◎ 혈청 serum

 : 혈병이 형성되고 응고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층의 노란 액체 성분

 - fibrinogen을 제외한 혈장단백을 비롯 액체성분이 있다

 

◎Hct(hematocrit) : 혈액 전체에 대해 주로 적혈구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수치

   ; 따라서 Hct치는 적혈구수의 증감을 아는 좋은 지표가 되기 때문에 빈혈의 판정에 중요한 검사 항목 (남 : 45%, 여 : 40%

 

혈액 :  혈구(45%) - erythrocyte

                    leucocyte -과립 백혈구 -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무과립 백혈구 - 림프구 → T-cell, B-cell

                                                단핵구       

                    platelet  

 

        혈장(55%) -혈장 단백질 -  albumin

                                                globulin

                                                fibrinogen

                   

                    대부분이 수분이며, 그속에 무기염류, 지질, 효소, 호르몬, 전해질

                    응고인자, 탄수화물, 비타민

 

3. 혈액의 물리적 특성                                                                                            

 

 - 혈액량 : 신체 내 있는 혈액 전부를 total blood volume

            이는 순환 혈액량 + 저장 혈액량( 간, 비장, 소화관)

            체중의 8-9%이고, 5-6리터 정도

 

○ 비중 : 전혈(1.055 ~ 1.065), 혈장((1.027), 적혈구(1.097)

○ 혈액 삼투압 : 혈장에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에 의함

   ∴ 이것은 0.85% NaCl 용액의 삼투압과 동등하고 이를 생리적 식염수라 한다.

 

○ 교질 삼투압 : 혈장단백질에서 유래하는 삼투압 약25-30mmHg

                모세혈관의 혈장 단백질 농도가 높기 때문에 혈액 중의 수분을 유지

                ∴ 모세혈관과 조직액 사이의 물질이동에 관여

 

 - 혈액 산도는 pH 7.4(plasma pH7.4, 혈구세포 pH 7.3)

∴ 일반적으로 정맥혈은 동맥혈에 비해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기 때문에 pH가 낮으나 그 차  이가 크지는 않다. 이는 혈액

     자체 or 폐나 신장 등의 완충작용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조절

 

 - 혈액의 점도는 물의 4배로서 혈액이 흘러 갈 때 구성물질간 마찰에 의해 생김 → 혈압     유지

 - 적혈구 침강 속도 : 응고 저지한 혈액을 공기 中 방치시 적혈구 점차 침강

                      이는 혈장 단백질의 조성변동에 따라 변함

                       albumin ↑ → 침강속도 늦어짐

                       분자량큰 globulin ↑ → 속도 빨라짐

 

 - heparin or 3.8%구연산소다 등의 항응고제 넣고 원심분리시 비중이 큰 세포성분은 아래로 가라 앉고  액체성분은 위로 분리

 

  cf) 항응고제 (anticoagulant)

     EDTA, 수산염, rndustkaduasodium citrate → 이들은 Ca2+의 활성화를 막음

    heparin, hirudin → prothrombin에서 thrombin으로의 전환방해

    큐마린, 큐마린 유도체 → 비타민 K 작용 저해제  (혈액응고인자 Ⅱ,Ⅶ,Ⅸ,Ⅹ의 생성 억제)

    혈액 속의 항응고 인자로는 plasmin or fibrinolysin 이 있는데, 이는 fibrin을 용해(혈전제거)

 

4. 혈구의 조혈

 - 혈액은 내적 항상성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생산 파괴

 - 태생 초기 → 난황낭 간장 및 비장에서 생성

 - 태생 5개월 경 → 골수 조혈 시작

 - 출생 후 → 골수조혈 주가 되지만

              어릴때는 상완골 및 대퇴골 등의 긴 뼈에서 적골수에서 생산

              성년 이후는 척추 흉골 골반골 머리뼈등의 편평골에서 생성

 

 - 적혈구와 혈소판은 골수에서 만들어지나 림프구는 골수에서 각각 생성

 ∴ 모든 혈구의 기원은 다능성 간세포라고하며 이것이 골수중에 있고 성숙 분열하면 ①골수계 간세포와 ②림프계 간세포로 분화

 

골수계 간세포 → 적혈구, 과립구, 단핵구 및 혈소판 계통의 간세포

림프계 간세포 → T-cel, B-cell

5. 혈장                                                                                                                                      

 - 혈구를 제외한 혈액의 대부분(55%)

 - 혈장단백량 7~8/dl

 - 90%가 물이고 7%가 단백질, 전해질, 무기질, 유기질 등등

 cf) 혈장 = Na+, Cl-이 가장 많음 (85%)

     혈구 = K+, Cl-이 가장 많음(80%)

 

● 혈장 단백질

albumin 55% - 체액의 삼투압 유지, 간에서 생성

 globulin 38% - 면역, 림프구에서 생산

 fibrinogen 7% - 응고인자, 간에서 생산

 

 - 알부민에 의해 형성되는 ①교질 삼투압은 혈액 속의 수분이 모세혈관에서 조직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붙드는 힘. 또한 ②산-염기 평형. 그리고 (호르몬, 이온, 효소) 등의 ③운반체로서 작용

 - 글로부린은 알파, 베타, 감마 글로불린으로 구성

 - 알파 글로불린은 x1과 x2로 나뉜다.

 - 글로불린은 대부분 간에서 생성. 감마 글로불린은 림프조직에서 생성.

 -  x1은 고밀도 지질단백 운반, x2은 호르몬 운반에 관여

  - 베타는 저밀도지질단백과 철 운반

  - 감마는 IgG,A,M,D,E로 나눠짐(면역글로불린)

 

∴ 혈장단백질의 생리적 기능은

 ① 혈액량과 체액량 조절 - 교질삼투압 유지 → 수분이동 조절

 ② fibrinogen은 혈액 응고 인자

 ③ 호르몬 색소 약물 등은 혈장단백질과 결합해 운반하는 물질 운반에 관여

 ④ 감마-글로불린은 면역에 관여

 ⑤ 혈액의 산 - 염기 평형 조절

 ⑥ 체세포의 영양물질로 공급됨(예비단백질로서의 기능)

 ⑦ 혈액에 일정한 점성 부여 → 혈압 유지

 

☆ 질환별

 신장질환시 혈장 중에 요소질소가

  간 질환시 혈장 중에 아미노산 질소 및 암모니아가 증가

 

cf) 

 1. 혈액중 함유된 포도당을 혈당이라 하고 insulin은 유일하게 체내에서 혈당하강작용

 2. glucagon, adrenalin, glucocorticoid, 성장호르몬,갑상선호르몬은 혈당 상승작용

 

6. 적혈구(=erythrocyte, RBC)                                                                                 

 

- 직경 7.7㎛, 표면적 120㎛2, 용적 87㎛3

 - 정상남자  약 500만개/㎣,  여자 약 450만개/㎣

 - 유아 650만개/㎣

 - 63% - 64% 수분, 33%-34%가 헤모글로빈, 기타 단백질 지질 효소로 구성

 - 한개의 RBC는 황색, 응집하면 붉게 보인다.

 - 골수에서 생산되어 순환계로 들어가기전 핵이 소실

 - 단순한 구형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 산소와의 접촉에 유리

 

① 적혈구조혈의 조절

 - 물론 다양한 조절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 erythropoiten 호르몬, Vit B12, 엽산, 철, 동, Vit B6, 신성조혈자극요소(REF)

 

   ex) 생체가 hemorrhage나 적혈구 파괴에 의한 저산소상태hypoxia → 이산화탄소 분압 이 낮아지면 조직으로 산소공급량 저하 → 신장에서 erythrogenin 이라는 물질 분비 (혈장 단백의 x-globulin에 작용 → erythropoietin 단백질 생산) → erythropoietin은 골수간세포에 작용 → 혈구모세포 생성(핵이 有) → 이럭저럭 거치다가 → 망상 적혈구(핵 소실) → 적혈구 → 순환계

 

 - ex)에서는 산소분압에 의한 erythropoietin이 혈구생성을 자극하는 것이다

 - 또한 Vit B12 조혈과정에 관여 (적혈구 핵 성숙에 불가결)

 - 적혈구 조혈에 heme의 구성요소인 철이 있다

 - 또 Vit C , 엽상등 여러 영양소가 필요한데 부족하면 적혈구 성장과 발달 저해

 

② 혈색소(Hb) cf)myoglobin-근육에 있는 heme와 globin의 화합물→산소저장

 - 산소를 운반하는 붉은색의 색소

 - 산소와 CO2 의 운반의 기능단위

 - 산 - 염기 평형에 중요한 역할

 - 복합단백질로서  globin과 4분자의 heme 결합체

 - 산소분압이 높은 폐에서는 heme분자중의 철에 산소가 결합해 산화헤모글로빈 형성

   산소분압이 낮은 말초조직에선 산소가 떨어져나가 환원헤모글로빈이 된다

   ∴ Hb와 O2의 결합은 혈액 중의 산소분압에 의존

 

 - 해리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온도, pH, 2,3-DPG

   ex)일을하고난후 혈관의 혈액에는 온도↑, PCO2↑, pH↓, 2,3-DPG↑, PO2

 

   cf) Hb-O2 해리곡선 보기바람

       산성 → O2와 친화력 大

       알칼리 → O2와 친화력 小 

      ∴HbO2 포화도는 산소 분압 증가하고 이산화탄소분압 감소하면 증가한다

        HbO2 해리도는 산소 분압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분압 증가하면 증가한다

 

③ 적혈구 파괴

 - 골수 → 순환계 → 120일 후 → 비장에서 제거(세망내피계와 조직대식세포에 의해)

 - 적혈구가 대식세포에 의해 파괴될 때

   Hb → heme + globin 으로 분해

   heme → Fe2+ + biliverdin

   biliverdin → 간세포 → 답즙 → 총담관 → 장에 배설

   여기서 globin과 Fe2+은 간, 비장, 골수 등에 저장되어 다시 Hb재합성에 이용

 

 - 소장에 배설되 답즙은 세균작용에 의해 → urobilinogen이 되고 그 대부분은 분변으로  함께 배출  

 -  urobilinogen → 일부가 소장에서 재흡수 → 간장 → 신장 →뇨중 배출

 

∴ 분변과 뇨의 색은  urobilinogen이 산화된 urobilin에 의한 것 

   urobilin은 일정하게유지, 축적되면 독성이 있어 손상을 줌

 

④ 용혈(=hemolysis)

 - 적혈구막이 터져 적혈구내 Hb등이 세포 밖으로 유출되는 현상

 - Hb가 빠지면 RBC는 무색 → ghost cell이라고도 함

 - RBC는 정상 혈장 삼투압보다 ↑ → 쪼그라든다

   RBC는 정상 혈장 삼투압보다 ↓ → 부푼다

 - ex)삼투적 용혈 : RBC삼투농도가 주위 액체의 삼투농도보다 높거나 or 낮은경우

 

⑤ 황달

 - bilibrubin이 간의 기능 저하, 총담관 폐쇄 및 과도한 용혈 등으로 인해 혈중 농도가 높아져 안구 공막 or 피부가 누런 빛으로 착색이 됨. 이를 yellow jaundice이라 함

 - 종류 : 용혈성 황달 → RBC파괴로 Hb분해산물이 혈액내증가

             간원성 황달 → 간질환에 의해

             폐쇄성 황달 → 담도 폐쇄

             신생아 황달 → 신생아 2-3일 내 볼 수 있는 간장의 기능적 이상

 

⑥ 빈혈 anemia

 - 혈액 중에 RBC 수와 RBC 중에 Hb농도가 정상보다 감소된 상태

 - 종류 → 철결핍성 빈혈(적혈구 조혈에 철이 관여) -산소를 실어나르는 일을 함, 새로운 헤모글로빈 합성

           Vit B12의 결핍에 의한 악성 빈혈 - Vit B12이는 적혈구핵을성숙시키는 일을 함

           용혈성 빈혈

           실혈성 빈혈

           무형성 빈혈

 

⑦ 적혈구 과다증

 - 생리적 RBC 과다증 → 고산지 사람, 탈수현상시도 나타남

 - 악성 과다증 → Hct치가 70-80%가 되며, 혈액 점성 증가되어 산소 결핍시 증상인 청색   cyanosis가 나타남

 

7. 백혈구(=leukocyte, WBC)                                                                                                  

 - 핵이 有

 - 과립과 무과립이 있는데 과립은 lysosome을 말한다.

 - 수명(3-21일) → RBC보다 훨씬 적다

 - 크기는 훨씬 大

 - 죽을때는 RBC와 같이 세망 내피계에 의해 죽는다

 

 

구분  혈구 크기 비율 수명
과립백혈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11㎛
11㎛
10㎛
59%
2.5%
0.5%
10일
11일
11일
무과립백혈구 림프구
단핵구
8㎛
15㎛
34%
4%
2-3일
200일

 

 

① 조혈

   - 골수의 간세포에 의해 조혈

     ;혈구모세포 → 골수아세포,림프,단구아세포 →호중구,호산구,호염기구

                                                림프구

                                                단핵구

 

 

 ② 구분

   - 호중구 → 주화성에 의한 세균탐식 능력(음세포 작용)

               (opsonin같은 물질)

            → 급성염증 때 증가. 강한식균작용

 

  - 호산성구 → 식균작용(기생충 알러지) ex) 호흡기 비뇨기 점막에 분포→점액성 면역

 

   - 호염기구 → histamin, heparin분포

                       이 막에는 IgE 항체 sensory 존재 → 만약 결합시 과립에서 histamine  방출 → 이것이 알러지증상 유발(환부 혈관확장, redness, 가려움)

   - 림프구 → B-cell, T-cell 있고, 면역에 관계한다.

   - 단핵구 → 식균작용이 매우 강한 백혈구

              만성염증의 방어 담당(간의 kuffer cell, 뇌의 microglia cell, 폐포대식구 등)

③ 기능

 - mobility가 있어 모세혈관을 빠져나와 신체방어, 신체면역 주도, 염증반응에 관여

 - 모세혈관 벽을 유주라는 방법으로 나감 (이때 화학주성인자인 leukotaxin, necrosin은 모세혈관 투과성 증진)

 - 아메바 운동(양성주화성 의존)

 - 백혈구 잔해를 고름pus라 함

 

질환별

1. 백혈구 과다증(백혈병)

 - 골수 or 림프절의 이상증식에 의해

 - 골수의 백혈구 증식에 따라 골수 파괴 → 적혈구 형성 기능 저하 → 빈혈 → 골화 부위 

   가 점차 얇아져 골절 쉽다 → 백혈구 감소

 - 더 나아가 골수 파괴시 췌장, 림프절, 간장, 혈관계로 전이 되어 → 아미노산 미 Vit 결핍으로 생명 잃음(백혈구성암)

 

cf)마지막 요약                                                                                                                           

 

 세균의 세포 침입 → 염증 반응 야기 → 이 자극으로 골수 많은 호중구 생산

                      ↓ →옵소닌 작용이 세균에서 일어남(혈장 인자 中 세균을 둘러쌈)

        부위에 leucotaxinn or necrosin 분비

                      ↓

             모세혈관벽 투과성 증가      

                      ↓ → 백혈구 연변 추향이 일어남(내피세포로 세로로 늘어섬)

              백혈구 유주 → 아메바 운동으로 염증반응지역으로 접근

   

  →opsonin이 백혈구막에 작용. 백혈구막 자체의 표면장력 약화                 

  → 음세포작용이 일어남 (이형삼중체 G-단백 매개)

  → 세포외유출 일어남(과립 배출=탈과립)

  → 과립안에는 myeloperoxidase, depesin 효소 존재,

     또한 세포막의 NADPH oxidase가 활성화되어 독성산소대사산물 생성

     그래서 이 두개가 연합해 효과적 살생기구로 변신

 

 잠깐) NADPH + H2 + 2O2 → NADP+ + 2H+ + 2O2-

                                                   ↓

                                                 과산화물

                                

또한 여기서 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 과산화수소 형성→ 이것도 살균

또한 과산화수소는 catalase에 의해 물과 산소로 전환

8. 혈소판(platelet=thrombocyte)                                                                             

 ① 기능

   - 손상된 혈관 내피에 혈전 형성

   - 혈소판 파괴시 serotonin 유리 → 손상부위 혈관 수축

   - thromboplastin과 heparin 중화작용 → 응고 촉진



 ② 특징

   - 수명 : 1주일 → 비장, 간에서 파괴

   - 핵이 없다 과립이 있고 또한 serotonin, K+, ATPase,

      histamine, thromboplastin, ca2+, prostaglandins, ADP포함



 ③ 혈소판 플러그 형성 과정

   - 혈관벽 손상시 혈소판은 혈관에 노출된 교원질인 laminin과 혈소판 표면의 integrin 을 통해 Van Willebran factor에

     부착 = 유착과정

     → 그러나 혈소판이 교원질에 결합하면서 활성화가 되면서 위족을 내고 동시에 세포내 과립을 방출. 이것은 다른 혈소판    

        활성화 or 서로 달라붙게 함 = 응집현상



  cf) If 혈소판 수 감소 → 수축지연 → 타박상 쉽게 일어남 → 피하출혈 특징인 혈소판 감소형 자반증이 나타남

     If 혈소판 수 증가 → 혈전증이 나타남



9. 지혈 및 혈액 응고                                                                                              

; 벽 파손을 출혈 진행 되면 정상적 생리 기전으로 혈액의 외부 유출 막아 생명 보호, 유지해주는 능동적 작용을 지혈이라 한다.

 ① 혈관수축반응 ② 혈소판 응집 ③ 혈괴형성순



※ 혈액 응고 인자
Ⅰ. fibrinogen

Ⅱ. prothrombins

Ⅲ. tissue factor(tissue thromboplastin)

Ⅳ. calcium

Ⅴ. proaccelerin

Ⅶ. SPCA

Ⅷ. antihempophilic factor(AHF)

Ⅸ. plasma thromboplastin component

Ⅹ. stuart factor

Ⅺ. plasma thromboplastin antecedent

Ⅻ. hagement factor

13. fibrin-stabilizing factor



cf) Ⅵ인자 accelerin은 응고인자로 인정치 않음

    Ⅷ인자의 결핍시 혈우병 발생됨

    prothrombin은 간에서 생성되며 이때 비타민 K가 필요



    비타민 K 의존성 혈액응고 인자?

    Ⅱ,Ⅶ,Ⅸ,Ⅹ



1) 국소적 혈관 수축

  ;혈소판에서 유리되는 serotonin과 다른 혈관수축물질에 의해

2) 일시적 지혈 (혈소판 응집)

3) 혈액응고기전 (혈괴 형성)

 - 외재성의 경우 혈소판 플러그 frame work를 형성하면

                       ↓

   혈소판에 존재하는 thromboplastin(혈액응고 인자Ⅲ)이 유리

                       ↓ 이 때 ca2+이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응고인자 Ⅹ를 활성화시켜 prothrombin을 → thrombin으로 바꿈

                       ↓                       ↑ thrombokinase활성화

   이 thrombin은 fibrinogen을 fibrin으로 변화시킨다.

                       ↓

   fibrin은 혈구를 휘감아 응괴 형성한다.


 - 내재성인 경우는 혈관조직 손상 없이 혈액 자체가 교원섬유 같은 이물질 표면과 접촉시 Hagement인자가 활성화되면서 →→ 거치다가 thrombin으로 전환시킨다. → 그 이후에는 똑같이 벌어진다.



10. 수혈(transfusion)

  - 혈액의 30~40% 이상을 잃게 되면 혈압유지가 어려워져 shock에 빠져 위험하게 됨

    이때는 수혈을 받아야 함

  - 간경화증 또는 신장염일 경우 → 혈청 알부민을 투여( 그 이유는 간장장애로 혈청 알부민의 합성이 감소되어

    혈장 교질삼투압이 낮아져 부종 및 복수의 증상이 나타남) 



11. 혈액형



 - 일반적으로 적혈구막의 항원을 혈장내에 있는 특수한 단백질인 항체에 대비해 분류한 적혈구의 혈액형(but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

 - 응집 agglutination

   ; 두 사람의 혈액을 섞어 놓으면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적혈구들이 서로 뭉치고 용혈을  일으킨다.

 - 응집원 : 적혈구막에 있는 A와 B의 항원

 - 응집소 : 혈청에 있는 α(anti A)와 β(anti B)의 항체



적혈구 뿐만 아니라 백혈구나 혈소판에도 혈액형이 있습니다.

이들도 적혈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혈구 또는 혈소판 표면의 여러 구조물들이 혈액형 항원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HLA 항원 등 백혈구의 항원이 환자에게 노출되면 이에 대한 항체가 환자에게 생성될 수 있는데 이 항체는 혈소판제제의 수혈시 수혈된 혈소판을 깨뜨릴 수 있어 혈소판을 수혈해도 혈소판수치가 잘 올라가지 않은 혈소판 수혈불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HLA가 같은 사람의 혈소판을 수혈해야 혈소판 수치가 올라갑니다.

① ABO형

 

혈액형 유전자형 응집원(RBC에서) 응집소(혈청에서)
O OO  - Anti-A, Anti-B
A AO or AA A Anti -B
B BO or BB B Anti -A
AB AB A and B  -



- 수혈할 수 있는 혈액형

    A형 → A형, AB형

    B형 → B형, AB형

    AB형 → AB형, O형

    O형 → A형, B형, AB형, O형



- 수혈 받을수 있는 혈액형

    A형 → A형, O형

    B형 → B형, O형

    AB형 → AB형, A형, B형, O형

    O형 → O형



왜 A형인 사람은 anti-B를, B형인 사람은 anti-A를, 그리고 O형인 사람은 anti-A,B를 '이미' 가지고 있을까요?



적혈구에 노출된 경험이 없이도 사람들은 자신이 결핍하고 있는 ABO 혈액형 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미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ABO 혈액형은 다른 항원들과는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 A형인 사람은 anti-B 항체를, B형인 사람은 anti-A 항체를, 그리고 O형인 사람은 anti-A,B 항체를 '이미' 가지고 있을까요? 항체가 생성되려면 항원의 자극이 있어야 하는데 언제 어떻게 우리는 ABO 항원에 노출되었을까요? 뚜렷한 항원의 자극이 없이 '자연적으로'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생각한 초기의 연구자들은 이들 항체를 '자연 항체'(naturally-occurring antibody)라고 불렀으나 이제는 ABO 항원의 분자구조가 밝혀지고 박테리아 세포벽에도 ABO 항원과 같은 당사슬 구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규명되어 장내 세균총 또는 음식물 등을 통해 박테리아에 의해 ABO 항원들이 우리의 면역시스템에 노출되어 anti-A 또는 anti-B 항체가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백혈 및

 혈소판 혈액형

 ② Rh형



   - Rh인자는 적혈구에 있는 특별한 단백질의 D항원 유무

   - Rh 인자가 있으면 Rh+,  Rh 인자가 없으면 Rh-                               



ex) Rh+인 우성의 아버지  ------ Rh-인 어머니 (∴물론 우성의 Rh+아이가생기기 쉽다

                              ↓

                         태아임신

   

   ∴ 이때 태아의 적혈구 단백질이 태반을 통해 어머니 혈액내로 들어가면 어머니 혈장내   Rh인자가 없기 때문에 상과 없다. 그러나 응집소가 태반을 거쳐 들어온다면 적혈구에 응집이 된다.

     cf) 처음 임신하면 어머니 혈액 내 생긴 Rh 응집도 양이 적으나 임신을 거듭하면 응          집소 농도가 높아져 출산 후 아이가 죽거나 사산이 일어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