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차림프구 - 말초 림프기관
    CSNL 2024. 2. 16. 11:49

    - 정상적인 크기는 2cm를 넘지 않으며 강낭콩 모양

    -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조직 (실질적으로 후천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장소)

    - 일차림프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단순 림프구들이 모여서 호흡기 및 소화기 점막에 위치하고 있는 림프조직 포함)

    - 점막에 둘러싸인 림프조직들 포함 (림프절, 비장 및 편도선과 장의 파이어판등을 포함)

    - 림프구끼리 또는 항원과 반응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며 유발된 면역반응을 넓혀 갈수 있는 역할을 담당

    - 탐식성의 대식세포, 항원제시세포 및 성숙한 T,B 세포에 의해 이루어짐

     

    * 종류

    - 림프절 (lymph node)

    - 비장 (spleen)

    - 림프소절 (lymph nodule)

    - 퍼진 림프조직 (diffuse lymphatic tissue)

    - 장점 막층 림프조직

    림프절

     림프절

    ˙ 위치

    - 림프관이 만나는 합류점에 위치

    (완두콩 또는 타원형 모양

    (크기가 20~30mm정도))

    ˙ 특징

    - 림프순환계를 통과하는 항원들이 이곳에 들려 면역구들과 접촉하게 되는 곳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장소)

    - 피막으로 싸여 있음 : 피질, 부피질, 수질 로 나뉨(여러 개의 수입림프관이 들어옴)

    ˙ 역할

    - 조직으로 스며 나온 림프액을 모아 여과 (완전한 그물망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음)

    - 반대편의 약간 오목한 곳을 문이라고 하는데 이곳을 통해 혈관과 신경이 드나들고 몇 개의 수입림프관이 빠져나감

    - 림프절의 표면 : 피막으로 덮여있음

    - 피막에서 림프절의 내부로 다수의 돌기인 지주가 들어가 림프절을 여러 구획으로 나눔

     

    비장

    2) 비장

    ˙ 위치

    - 왼쪽신장과 횡격막 사이의 복강 내에 위치

       (인체 내의 가장 큰 림프기관)

    ˙ 특징

    - 혈관이 매우 많고 부드럽고 탄력 있다.

    - 림프관이 없고 섬유주 사이를 뚫고 들어온 소동맥을 통하여 혈류가 들어온다.

    - 혈액의 여과작용과 면역기능을 동시에 수행

    - 하나의 동맥이 들어와서 다시 여래개의 세동맥(arteriole)으로 갈라져 있는 있음 (세동맥은 임프 조직에 의해 둘러싸여있음)

    ˙ 역할

    - 혈액을 여과하여 그 안의 미생물, 이물질과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 등을 파괴

    - 출혈과 같은 응급 시 적혈구, 백혈구와 혈소판을 공급

     

     

    3) 림프소절 (lymphatic nodule)

    - 소화기관, 호흡기도 및 비뇨생식기관의 벽에 퍼진 림프조직과는 달리 림프구가 밀집되어 나타나는 것을 림프소절이라 한다.

    - 림프소절은 단독으로 무작위로 나타나거나 소화기관 등에서는 무리 지어 나타나기도 한다.

     

    4) 퍼진 림프조직 (diffuse lymphatic tissue)

    소화기관, 호흡기도 및 비뇨생식기관의 상피 밑에 림프조직이 피막에 싸이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는 것 림프구들이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형태를 하고 있음

    5) 장점막층 림프조직

    ˙ 위치

    - 음식물 출입구인 구강의 뒤쪽 양옆으로 존재 (구개편도가 이 기관의 한 구성성분)

    ˙ 특징

    - 식도, 위, 소장, 대장을 따라서 점막에 림프조직이 위치하고 있는데 소장에서서 가장 발달되어 있다.

    - 소화기관의 점막 내에 림프구들이 집중되어 만들어진 림프조직

    'CSN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차림프구- 중추림프기관  (1) 2024.02.16
    림프계 (Lymphatic System)  (0) 2024.02.16
    순환계  (2) 2024.02.16
    췌장  (0) 2024.02.16
    allosteric site의 역할과 agonist의 정의  (0) 2024.02.1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