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림프계 (Lymphatic System)CSNL 2024. 2. 16. 11:50
(1) 림프계란?
-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여러 세포들이 모여 있는 기관으로 특수하게 분화한 결합조직과 림프구들로 구성됨
- 조직액이 유출되어 모아진 림프가 순환계로 유입되는 통로
* 림프란?
- 정맥의 보조 순환을 담당, 제2의 순환계
- 주요성분 :물 (하루 2~4리터 형성)
- 성분은 소량의 알부민, 글로블린, 당, 무기염류 등 조직액이 여과된 투명 하고 엷은 누르스름한 색을 띤 액
- 모든 조직에 존재하지만, 피부, 중추신경계, 뼈, 근육의 일부에는 존재하지 않음
- 위치한 조직에 따라 미네랄, 지방, 단백질의 농도가 다르다
- 림프부종 : 림프관이 손상되거나 막혀 단백질이 풍부한 림프액이 피부나 피하조직에 축적되어 팔다리가 붓는 현상
(2) 림프계의 기능
- 체내 수분 균형 유지, 체액의 순환을 도움
- 소화관으로부터 지방과 다른 물질의 흡수 경로가 된다.
- 세균이나 다른 이물질이 있으면 림프구와 형질세포는 이물질을 파괴하는 항체를 생산해 면역반응에 참여 -인체 방어 역할
- 장에서 흡수된 지방성분의 운반기능
(3) 특징
- 림프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며 조직에서 세균을 없앰
- 림프 통로와 림프관을 거쳐 혈액순환계로 들어감
- 림프기관(비장, 흉선)과 림프절을 거치면서 여과됨
- 림프관의 압력은 혈관벽보다 낮으며 혈액보다 더 천천히 흐른다.
- 림프는 근육의 수축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고 림프판막이 있어 역류를 방지한다.
(4) 림프의 순환
- 동맥을 통해 신체의 각장기로 들어감
- 장기로 들어간 혈액은 조직의 세포사이로 들어가 조직의 대사물과 혼합되어 조직액 형성
- 조직액은 다시 모세혈관에 흡수, 정맥으로
들어가고 일부는 림프관에 의해 운반
- 림프관은 결합조직 속의 모세림프관에서 시작해 많은 가지가 모여서 굵은 림프관이 되며 다시 이것들이 모여 굵은 줄기를 형성한 후 대정맥에 주입
(5) 림프의 구성
- 림프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능의 림프구를 만드는지에 따라 중추와 말초 림프기관으로 나뉨
- 액체성분인 림프, 림프를 수송하는 림프관, 림프관사이사이에 분포하고 있는 조직 덩어리 림프절, 림프조직의 집단 편도, 비장, 흉선 등
- 림프절에는 림프구와 백혈구가 함유되어 세균을 방어하고 면역체계를 만든다.
- 림프절은 600~700개 정도가 있으며 쇄골부위(터미누스)에 1/3이 존재'CSN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 fragmentation assay (0) 2024.02.16 일차림프구- 중추림프기관 (1) 2024.02.16 2차림프구 - 말초 림프기관 (0) 2024.02.16 순환계 (2) 2024.02.16 췌장 (0) 202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