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dNTP
    CSNL 2024. 2. 17. 22:30

    NTP : nucleoside triphosphate

    dNTP : deoxynucleoside triphosphate

     

    당+염기를 nucleoside라고 합니다.

    여기에 인산이 붙은 것을 nucleotide라고 부르는데,

    NTP, dNTP는 nucleotide를 부르는 말입니다.

    nucleoside에 인산이 3개 붙어있다는 뜻이지요.

    NTP는  당에 붙어 있는 염기(A, T, G, C)에 따라 각각 이름이 달라집니다.

    ATP, TTP, GTP, CTP, UTP 같은 것이 있겠네요.

    위의 것들을 한번에 싸잡아 부르는 말이 NTP이며, 이 때의 당은 ribose입니다.

    dNTP는 당을 구성하는 작용기 중에서 하나의 OH가 H가 치환된 것,

    즉, O하나가 떨어져 나간 분자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2번탄소에 있는 OH가 H로 치환되어 있죠.

    이 역시 이름은 같은 방식으로 붙입니다.

    dATP, dTTP, dGTP, dCTP, dUTP 등...

     

    이를 구성하는 당은 리보오스(ribose)라는 단당류이고

    이 ribose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polynucleotide를 RNA(리보핵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2번탄소의 OH에서 O가 떨어져나간 당을 deoxyribose라고 하며,

    마찬가지로 deoxyribose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polynucleotide를 DNA(데옥시리보핵산)라고 합니다.

    (de-는 제거한~ 이라는 뜻의 접두어입니다.

    DMZ=demillitarized zone 과 같이...)

     

    따라서 dNTP->DNA, NTP->RNA가 되는 것입니다.

     

    유전공학적으로 2번, 3번 탄소의 OH에서 산소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ddNTP라고 하며,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또한 nucleotide에는 인산이 3개붙은 것 뿐만 아니라 인산이 한개, 두개 붙은 것도 있으며

    NDP, NMP등으로 붙입니다.

    (AMP, ADP, TMP, TDP 등등...)

    'CSN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균 이외의 다른 생물체 용도의 클로닝 벡터  (0) 2024.02.17
    salting in과 salting out의 용어 정의  (1) 2024.02.17
    RNA isolation  (1) 2024.02.17
    [생명공학] PCR  (1) 2024.02.17
    TAE BUFFER와 TBE BUFFER의 차이점  (0) 2024.02.1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