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Ⅱ. 면역
    CSNL 2024. 2. 15. 17:42

    면역 ; 혈액의 방어기전으로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모든 병원체나 독소에 저항할

       수 있는 신체의 능력

     ※항원과 항체

     

       ① 항원antigen : 강력한 유해물질, 질병을 유발시키는 병원체

                ex) 세균등의 병원성 물질, 이종단백질

       ② 항체antibody : 항원의 침입시 체액에서 만들어 내는 항원 대항물질

                         어떤종류의 항원에 폭로시 면역계 세포(plasma cell)의 ribosome에서 항체 형성

                         형성된 항체는 항원 결합부위를 가진다

                        

                         이는 γ-globulin 이를 Ig(면역 글로불린)이라고 한다.

                         Ig-G : 가장 많음(80%), 태반통과물질(출산전에는 어떠한 항체형성도 못하나 모체로부터 받은 것으로 보호받는다). 2차면역반응

                         Ig-A : 타액, 기관지 점막등의 상피세포에 부착

                         Ig-D : B세포에 의한 항원인식

                         Ig-E : 호염기구(천식 및 알러지 반응) 및 비만세포에서 분비

                         Ig-M : 1차 면역 반응, 류마티스 인자항체 가짐

     

     ○ 특성

       a. 특이성 b. 기억작용 c. 인지작용

     

     ① 비특이성 면역계 → 선천적 ⇒ 이전에 한번도 대면하지 않은 이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전환 (ex: 피부, 위액의 강한 산성에 의한 살균작용)

     ② 특이성 면역계 → 후천적 ⇒ 항원에 의해 항체가 형성된 후 동일한 종류의 항원을 조우, 이것을 무해하게 한다(ex : 홍역)

     

    1) 특이성 면역계 - ① 체액성 면역 ② 세포성 면역으로 나뉜다

                        - T-cell, B-cell에 의해 주도, 또한 null cell도 있다

                        - activiated T-cell을 만드는 형태를 세포성 면역

                          antibody를 만드는 형태의 면역을 체액성 면역

      

       a. 세포성 면역

         - T-림프구에 의해 매개됨(혈액림프구의 70~80%)

         - cf) T-림프구에 대해서

           

                                             ↗ T-lymphokine-cell 

             T-cell →  T-effector → T4   → T-helper/inductor

                       ↘        ↘          ↘ T-helper

                         ↓         ↘  

                          ↓           T8   → T-killer

                            ↓              → T-suppressor

                              ↓

                            T-memory

     

     - T-helper cell은 B-cell의 항체형성시키는 형질세포로 분화 증진 시키는 성장인자  분비

         - T-killer cell은 항원을 가진 세포 파괴

         - T-memory cell은 처음 폭로된 항원과 동일한 종류의 항원과 조우했을 때 이것을  인식

         - T-supressor cell은 B or T 림프구 활동 억제 or 과민한 면역반응 억제

         - T-helper/inductor는 T-cell 분화 증진시키는 lymphokine인 interleukin-2를 분비

         - T-lymphokine cell은 대식세포 or 혈구간세포 같은 다른 체세포를 활성화하는 호르몬과 같은 lymphokine유리

     

       b. 체액성 면역

         - B-림프구에 의해 주도, 2~3일 정도 산다.

         - 혈액, 림프순환하지 않는다

         - 혈액 림프구의 15%만이 B림프구이다.

         - 그들의 cell membrane에 부착된 Ig가 antigen에 대한 special-sensory로 작용

         - 항원과 만날 경우 B림프구는 plasma cell로 변형 

         - 항원에 대한 특이 Ig를 생산

         - 다른 항원 자극 B림프구는 장기간 생존해야하기 때문에 B-memory cell로 되어야  한다.

         - 이는 형질세포와는 다르게 막의 면역 글로불린(Ig)으로 남게 된다.

     

    2) 비특이성 액성 면역계

     

     ① 보체

       - 항원-항체 반응을 동반하는 많은 생물학적 효과는 소위 보체complement : C1-C9 라고 하는 혈장인자의 관여에 의해 나타남

       - 이들은 혈액응고인자와 같이 혈액내에서 불활성 상태를 유지하지만 특이한 경우 활성화하게 된다

       - 최소 7가지 이상의 단백질이 관여해야 보체는 활성화한다.

       - 억제는 Ca2+, Mg2+, citrate, EDTA, 열을 가하면 억제

       - 항원-항체 복합체는 어떤 보체인자와 견고하게 결합한다.

       - 혈청에 보체인자가 감소된 것이 보이면 항원 - 항체반응이 일어남을 짐작

    ② 리소짐lysozyme

       - 많은 조직 또는 체액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성장 또는 번식 억제

    ③ 사이토카인cytokine

       - 체내의 면역응답에 관여하는 백혈구나 대식세포의 증식, 분화, 활성은 cytokine에 의 해 일어난다.

       - 면역응답이 있을때 T세포와 대식세포는 활발히 cytokine을 분비한다.

     

    3)비특이성 세포성 면역계

       ① 면역과 알레르기

         - 몸의 방어기전이 이물질에 의한 질병반응을 나타낼 수 없는 무해한 물질로 만들었을 때 그 기관은 그 물질에 대하여 면역이 생겼다고 한다.

           그 후 동일한 이물질에 반복하여 노출된다면 때때로 그에 대한 반응을 변동하게 된다. 즉 알레르기성이 된다.(과민성 반응)

           a. 아나필락시형 -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대, 피부혈류량 증가, 발진, 외분비선 증가

           b. 세포독형 - 부적합한 수혈로 생긴 용혈, 면역복합체 모세혈관벽 침착으로 생긴  손상

    'CSNL'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Ⅲ. 혈관  (0) 2024.02.16
    siRNA와 shRNA의 기술적인 차이점과 비교  (0) 2024.02.16
    Ⅰ.혈 액(blood fluid)  (0) 2024.02.15
    SDS-PAGE  (2) 2024.02.15
    Protease inhibitor?  (0) 2024.02.15
Designed by Tistory.